Floating point(부동소수점) 컴퓨터는 숫자를 2진수로 표현하기 때문에 실수를 표현할 때 표현하지 못하는 소수가 발생한다. 부동소수점은 이렇게 표현하지 못하는 소수를 가장 근사치의 값으로 저장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. 부동소수점을 표현하는 방식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IEEE에서 제안한 표준방식을 사용한다. 표현 방법은 아래의 단계와 같다. step1 실수를 2진수로 바꾼다. : 소수점 아래의 숫자에 *2를 반복해서 결과가 1이 될때 까지 정수부분에 있는 숫자(1이나 0)를 순서대로 적어준다. - ex) 0.625 * 2 ------- 1.250--->1 0.250 * 2 -------- 0.500 --->0 0.5 * 2 ------- 1 --->1 따라서 0.625-->0.101 ste..
ALU(Arithmetic Logic Unit) ALU는 컴퓨터 CPU의 한 부분으로 산술적, 논리적 연산을 수행한다. ALU에서 처리하는 데이터 중 숫자는 정수와 실수 두가지로 나뉜다. 오늘은 그 중 정수의 표현법 인 2의 보수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. Two’s Complement 사람은 Sign-Magnitude방법을 사용해 부호와 숫자를 따로따로 쓰기 때문에 +와 -의 계산법이 다르고, 0의 표현법이 +0, -0 두가지라는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. 따라서 기계는 2의 보수 표현법을 이용한다. 장점 0의 표현법이 1개이다 -> 숫자를 한개 더 많이 표현할 수 있다. ex) 8비트일 때 -0 대신 -128 표현 가능 +와 -의 계산법이 같다. ex) A-B = A+(-B) 특징 overflow, ca..